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4 [Day6] 최소단위셀과 최소기본벡터 & 위그너-자이츠 셀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소단위셀과 최소기본벡터 & 위그너-자이츠 셀"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최소단위셀 (primitive unit cell) & 최소기본벡터단위셀 중 크기가 가장 작고 단위셀 내의 유효 원자수가 1개인 경우를 최소 단위셀(PUC; primitive unit cell)이라고 합니다.이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기본벡터를 최소기본벡터 또는 최소기본구성벡터 라고 합니다.PUC 내에 유효원자수는 반드시 1개지만, 형태는 택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갖게됩니.. 2025. 4. 7. [Day5] 주기적 원자 배열 구조의 단위셀과 단위벡터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기적 원자 배열 구조의 단위셀과 단위벡터"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단위셀(unit cell)단위셀은 주기적 원자 배열을 가진 고체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작은 원자 배열 단위"를 의미합니다.즉, 주기적 원자배열에서 인접한 원자들로 이루어진 특정한 구조를 선택하여, 이를 공간적으로 반복하고 평행 이동함으로써 주기적 원자배열을 이루는 고체를 완전히 구성할 수 있습니다.유효 원자수(effective number of atoms)단위셀 내에 원자.. 2025. 3. 30. [Day4] 결정성 반도체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정성 반도체"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결정성 반도체-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핵심 재료로는 주기적인 원자 배열을 가진 결정성 반도체(Si, Ge, GaAs, InP, GaN)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단결정 반도체는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라 고유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를 구현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비정질 반도체 및 다결정 반도체- 산화규소막(SiO₂, SiOₓ)과 질화규소막(Si₃N₄, .. 2025. 3. 29. [Day3]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반도체의 분류원자들의 공간적 배열의 규칙성 또는 주기성(periodocity)에 따라 반도체를 다음과 같이 구분 할 수 있습니다.1) 단결정 반도체(Single crystal semiconductor): 반도체를 이루는 원자가 완전히 주기적으로 배열된 경우의 반도체2) 다결정 반도체(Poly-crystal semiconductor): 제한된 부분에 원자들의 주기성이 존재하여 작은 단위.. 2025. 3. 27. [Day2]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반도체란?- 지난시간에 반도체가 중요한 이유는 전기전도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이라고 정리 했었습니다. [Day1] 전기전도도(σ)에 따른 고체의분류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ddingjoo.tistory.com그럼 우리.. 2025. 3. 24. [Day1] 전기전도도(σ)에 따른 고체의분류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전도도에 따른 고체의 분류"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고체의 전기적 특성- 고체의 전기적 특성은 인가한 전계( ε [V/cm] ; electric field)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여 형성됩니다.미시적(microscopic) 옴의 법칙(ohm's law)- 미시적 옴의 법칙을 위의 수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전기전도도(σ)- 전기전도도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압을 통해 전계를 인가했을 때, 전류를 얼마나 잘 흘릴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합.. 2025. 3. 21.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