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정성 반도체"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결정성 반도체
-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핵심 재료로는 주기적인 원자 배열을 가진 결정성 반도체(Si, Ge, GaAs, InP, GaN)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단결정 반도체는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라 고유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를 구현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비정질 반도체 및 다결정 반도체
- 산화규소막(SiO₂, SiOₓ)과 질화규소막(Si₃N₄, SiNₓ)은 원자 배열의 주기성이 없지만, 반도체 소자 및 집적회로에서 중요한 절연체로 널리 사용됩니다.
- 특히 넓은 면적에 균일한 특성이 요구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같은 시스템을 구현할 때는 비결정성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 위에 반도체를 성장시켜야 하며, 이때 본래 결정성인 Si도 비정질 형태로 사용됩니다.
- 결정성을 가지지 않는 비정질 실리콘(a-Si)은 태양전지나 대형 평면 TV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제작에 꼭 필요한 재료로, 정보통신 시스템과 Si 기반 집적회로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또한 비정질 반도체층에 증착된 실리콘은 일정한 결정성이 포함된 다결정 실리콘(Poly-Si)으로 존재합니다. 비록 단결정 실리콘보다 전기적 성능은 다소 낮지만, 다양한 반도체 소자 및 집적회로에 실용적으로 쓰입니다.
반도체소자 및 집적회로 구현에 사용되는 예
아래 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집적회로 구현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들과,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바꾸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반도체를 구분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구분 | 종류 | 전기전도성 | 응용 |
단결정 | Si (실리콘) | 반도체 | 고성능 전자소자와 집적회로, 수광/광검출 소자, 이미지 센서 |
Ge (게르마늄) | 반도체 | 고성능 전자소자와 집적회로, 수광/광검출 소자, 이미지 센서 | |
GaAs, AlAs, InP, InAs, GaP, GaN, AlN | 반도체 | 초고속/초고주파 전자소자, 발광/수광 소자 | |
AlGaAs,InGaAs, InGaAsP, AlGaN | 반도체 | 이종접합을 이용한 초고주파 전자 소자, 발광/수광 소자 | |
다결정 | Poly-Si | 반도체 | 태양전지, 디스플레이용 트렌지스터, MOSFET의 Gate |
비정질 | a-Si | 반도체 | 태양전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트렌지스터 |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AOS) | 반도체 | 대면적 투명 디스플레이용 트렌지스터 | |
SiO2 (산화규소) | 부도체 | 반도체소자와 집적회로의 절연막 | |
Si3N4 (질화규소) | 부도체 | 반도체소자와 집적회로의 절연막 | |
Al2O3 (알루미나) | 부도체 | 반도체소자와 집적회로의 절연막 |
마무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 구현의 핵심이 되는 결정성 반도체를 중심으로, 그와 대비되는 비정질 반도체 및 다결정 반도체까지 폭넓게 살펴보았습니다.
결정성 반도체는 소자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재료이며, 비정질 및 다결정 반도체는 특수한 응용에 맞춰 활용됩니다. 각 재료의 결정성과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반도체 소자와 회로 설계의 기초가 됩니다.
이처럼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활용 범위는 재료의 결정성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각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전공자로서 소자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깊이 있게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같은 내용을 반도체를 전혀 모르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반도체"를 쉽게 풀어서 설명하는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단결정, 다결정, 비정질 반도체의 종류와 응용 예
반도체는 현대 기술의 핵심 소재로,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양광 패널 등 수많은 전자기기의 기반이 됩니다. 반도체는 단결정, 다결정, 비정질로 구분되며, 각 유형은 고유한 특성
ddingjoo.tistory.com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6] 최소단위셀과 최소기본벡터 & 위그너-자이츠 셀 (1) | 2025.04.07 |
---|---|
[Day5] 주기적 원자 배열 구조의 단위셀과 단위벡터 (0) | 2025.03.30 |
[Day3]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 (0) | 2025.03.27 |
[Day2]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 (0) | 2025.03.24 |
[Day1] 전기전도도(σ)에 따른 고체의분류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