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9

[Day9] 결정 내의 방향표시 : [pqr], <pqr>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정 내의 방향표시"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결정 내의 방향 표시 : [pqr]선택한 단위셀의 기본벡터를 {a, b, c} 라고 하면,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원자는 다음과 같이 기본 벡터들의 정수배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자를 나타내는 방향 표시는 [pqr] 로 나타내며p q r 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아래와 같이 bar로 나타냅니다.결정 내의 방향 표시 예시방향그룹(방향족) : SC, BCC, FCC, Diamond 구조의.. 2025. 4. 17.
[Day8] 단위셀 내의 유효 원자수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위셀 내의 유효 원자수"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주기구조 반도체의 단위체적당 원자밀도원자 배열의 주기성이 결정된 특정한 주기 구조에 대해서는 단위셀을 택하는 방법과 단위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자밀도는 같은 값을 가집니다.SC 구조 단위셀3차원 공간에 걸쳐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반복된 SC 구조의 단위셀에는 정육면체 여덟 꼭지점 마다 원자가 배열되어 있습니다.꼭지점의 원자는 인접한 8개의 단위셀이 공유한 구조입니다.SC 구조 단위셀 내의 유효 원자수.. 2025. 4. 10.
[Day7] 단위셀의 형태 (SC, BCC, FCC, Diamond)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위셀의 형태"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순입방구조 (Simple cubic ; SC)SC는 정육면체 여덟 꼭지점 마다 원자가 존재하는 구조입니다.단위셀을 구성하는 기본벡터 {a, b, c} 의 크기가 같고 서로 직각을 이룹니다.단위셀의 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심입방구조 (Body centered cubic ; BCC) BCC는 SC 구조에 더하여 정육면체 중심에 원자가 하나 더 있는 구조입니다.BCC는 SC 구조 2개가 원점에서 (a/2, .. 2025. 4. 9.
[Day6] 최소단위셀과 최소기본벡터 & 위그너-자이츠 셀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소단위셀과 최소기본벡터 & 위그너-자이츠 셀"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최소단위셀 (primitive unit cell) & 최소기본벡터단위셀 중 크기가 가장 작고 단위셀 내의 유효 원자수가 1개인 경우를 최소 단위셀(PUC; primitive unit cell)이라고 합니다.이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기본벡터를 최소기본벡터 또는 최소기본구성벡터 라고 합니다.PUC 내에 유효원자수는 반드시 1개지만, 형태는 택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갖게됩니.. 2025. 4. 7.
[Day5] 주기적 원자 배열 구조의 단위셀과 단위벡터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기적 원자 배열 구조의 단위셀과 단위벡터"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단위셀(unit cell)단위셀은 주기적 원자 배열을 가진 고체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작은 원자 배열 단위"를 의미합니다.즉, 주기적 원자배열에서 인접한 원자들로 이루어진 특정한 구조를 선택하여, 이를 공간적으로 반복하고 평행 이동함으로써 주기적 원자배열을 이루는 고체를 완전히 구성할 수 있습니다.유효 원자수(effective number of atoms)단위셀 내에 원자.. 2025. 3. 30.
[Day4] 결정성 반도체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정성 반도체"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결정성 반도체-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핵심 재료로는 주기적인 원자 배열을 가진 결정성 반도체(Si, Ge, GaAs, InP, GaN)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단결정 반도체는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라 고유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반도체 소자와 집적회로를 구현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비정질 반도체 및 다결정 반도체- 산화규소막(SiO₂, SiOₓ)과 질화규소막(Si₃N₄, .. 2025.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