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Day3]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

by 박사과정 띵주의 반도체 블로그 2025. 3.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반도체 자세하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전공자를 위한 자세한 반도체 이론"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반도체공학"에서 배우는 이론 및 지식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자배열의 주기성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를 주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반도체의 분류

원자들의 공간적 배열의 규칙성 또는 주기성(periodocity)에 따라 반도체를 다음과 같이 구분 할 수 있습니다.

1) 단결정 반도체(Single crystal semiconductor)
: 반도체를 이루는 원자가 완전히 주기적으로 배열된 경우의 반도체

2) 다결정 반도체(Poly-crystal semiconductor)
: 제한된 부분에 원자들의 주기성이 존재하여 작은 단위의 결정성고체(grain)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3) 비정질 반도체(amorphous semiconductor)
: 반도체를 이루는 원자가 주기성이 없는 경우의 반도체

 

cf) 다결정 반도체를 구성하는 작은 단위 결정을 "grain" 이라고 하며, grain 사이에 경계를 "grain boundary"라고 한다.
-> grain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크게 달라 질 수 있습니다.

(a) 단결정 반도체 (b) 다결정 반도체 (c) 비정질 반도체
(a) 단결정 반도체 (b) 다결정 반도체 (c) 비정질 반도체

 


마무리하며

반도체를 이루고 있는 원자들의 공간적인 배열의 규칙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단결정 반도체(Single crystal semiconductor)
2)다결정 반도체 (Poly-crystal semiconductor)
3)비정질 반도체 (amorphous semiconductor) 

다음시간에는 "결정성 반도체" 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같은 내용을 반도체를 전혀 모르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반도체"를 쉽게 풀어서 설명하는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day3) 반도체의 원자 배열: 단결정, 다결정, 비정질 반도체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반도체 쉽게 알려주는 "띵주"입니다. "비전공자를 위한 쉬운 반도체 이야기" 카테고리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반도체를 전혀 모르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반도체"를 쉽

ddingjo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