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전공자)를 위한 쉬운 반도체 이야기

반도체에서 전계에 의한 전자의 이동과 드리프트 전류

by 박사과정 띵주의 반도체 블로그 2025. 1.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반도체 쉽게 알려주는 블로그 "띵주의 공부일기"입니다. 오늘은 **전계(Electric Field)**가 반도체 내에서 전자와 정공을 어떻게 움직이게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이 **드리프트 전류(Drift Current)**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전류란 무엇일까요?

전류는 전하를 띤 입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입니다. 반도체에서는 전자와 정공이 이러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특히, 반도체 내부에 전계가 형성되면 전자와 정공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며 전류를 생성합니다.


2. 전계와 전자의 움직임

전계 E가 반도체 내부에 형성되면, 전자는 전계와 반대 방향으로, 정공은 전계와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받습니다.

이 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F = qE 

여기서 q는 전하량이고 E는 전계 강도입니다.

  • **전자 (q=−e)**는 전계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 **정공 (q=+e)**는 전계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3. 드리프트 속도와 이동도

전자는 전계의 힘을 받아 이동하다가, 반도체 내부의 결합 또는 산란 현상에 의해 평균 속도가 제한됩니다. 이 평균 속도를 **드리프트 속도 (vd)**라 하며, 이는 전계 E와 비례합니다:

vd = μE

여기서 μ는 **이동도(Mobility)**로, 전자가 얼마나 쉽게 이동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동도는 전자 (μe)와 정공 (μh)에 따라 다릅니다.


4. 드리프트 전류란?

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이 전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드리프트 전류라 합니다. 드리프트 전류는 전자와 정공 각각에 의해 발생하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자에 의한 드리프트 전류:

Jdrift,e = -q n μe E

(2) 정공에 의한 드리프트 전류:

Jdrift,h = q p μh E

(3) 전체 드리프트 전류:

Jdrift = -q n μe E + q p μh E
  • : 기본 전하량 (1.6×10^−19 C)
  • n: 전도대역 전자의 농도
  • p: 가전자대역 정공의 농도
  • μe: 전자의 이동도
  • μh: 정공의 이동도
  • E: 전계 강도

5. 드리프트 전류의 특성

  • 농도 의존성: 전자와 정공의 농도가 클수록 드리프트 전류가 커집니다.
  • 전계 의존성: 드리프트 전류는 전계 강도 \(E\)에 비례하므로, 전계가 강할수록 전류가 증가합니다.
  • 온도 의존성: 온도가 높아지면 이동도 μ가 감소할 수 있지만, 전하 농도가 증가하면 이 영향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

6. 드리프트 전류의 활용

드리프트 전류는 반도체 소자의 설계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다이오드: 순방향 전압에 의해 전자와 정공이 드리프트 운동을 하며 전류를 형성합니다.
  • 트랜지스터: 드리프트 전류를 이용해 신호 증폭 및 전환이 이루어집니다.

 


※ 드리프트 전류의 이해와 계산 예제

드리프트 전류란?

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이 전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드리프트 전류라 합니다. 다음 수식을 통해 드리프트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J_drift = -q × n × μe × E + q × p × μh × E

예제 문제

문제 1:

반도체 내부에 전계 E = 10³ V/cm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전자의 이동도 μ_e = 1350 cm²/V·s, 정공의 이동도 μ_h = 480 cm²/V·s, 전자 농도 n = 10¹⁶ cm⁻³, 정공 농도 p = 10¹⁵ cm⁻³일 때, 드리프트 전류 밀도 J_drift를 구하시오.

풀이:

주어진 값을 수식에 대입하면:

전자의 드리프트 전류:

J_drift,e = -q × n × μ_e × E
= -(1.6 × 10⁻¹⁹) × (10¹⁶) × (1350) × (10³)
= -2.16 × 10⁻³ A/cm²

정공의 드리프트 전류:

J_drift,h = q × p × μ_h × E
= (1.6 × 10⁻¹⁹) × (10¹⁵) × (480) × (10³)
= 7.68 × 10⁻⁵ A/cm²

전체 드리프트 전류 밀도:

J_drift = J_drift,e + J_drift,h
= -2.16 × 10⁻³ + 7.68 × 10⁻⁵
= -2.08 × 10⁻³ A/cm²

따라서 드리프트 전류 밀도는 -2.08 mA/cm²입니다.

직접 풀어보세요!

문제 2:

전계 E = 5 × 10³ V/cm, 전자의 이동도 μ_e = 1400 cm²/V·s, 정공의 이동도 μ_h = 500 cm²/V·s, 전자 농도 n = 2 × 10¹⁶ cm⁻³, 정공 농도 p = 10¹⁶ cm⁻³일 때, 드리프트 전류 밀도 J_drift를 구하시오.

답을 계산한 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마무리하며

 

드리프트 전류는 전계(E)가 전자와 정공을 움직이게 해서 생기는 전류입니다.

수식으로 보면: J_drift = -q × n × μe × E + q × p × μh × E

온도, 농도, 그리고 전계 강도에 따라 드리프트 전류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드리프트 전류는 반도체 공학의 기본이자, 실제 소자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입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나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반응형